Pagans We Are does TEDx (video inside)

 

This past November, I gave a TEDx talk on Jeju Island, where I’ve been documenting shamanic shrine culture for the past five years, as you well know if you follow my blog. I talk about my video and photography work an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sacred spaces, many of which are in danger on Jeju Island as well as world wide. I made my own version of the Tedx talk because the audio of the original is not so good and some of the content was cut during the editing. Here is my version. Please share!

 

Text of the talk in English with Korean translation:

SHAMANIC SHRINES THAT HEAL

1 INTRODUCTION

I have been documenting shamanic shrine worship on Jeju Island, South Korea, for the last five years. Jeju Island is a beautiful, once more remote place than it is today located about 60 kilometers south of mainland South Korea. My interest was peaked in shamanism and shamanic shrines years ago when I started working on a related project with Korean friends.

저는 5년간 한국에 있는 제주라는 섬에서 shamanic shrine worship을 기록했습니다. 제주도라는 아름다운 섬은 한국 본토에서 부터 60키로미터 쯤 떨어져있습니다. 처음 저의 관심을 끈것은 “샤머니즘” 이였고 한국 친구들과 프로젝트를 하며 접하게 되었습니다.

I became addicted to the the thrill of discovering new shrines around the island, and new myths of ancestor gods that villagers would relate to me. I heard amazing stories in every village that I visited, stories of faith and stories of survival, and those stories seemed to get more and more interesting as time went by. I felt a moral obligation to do this work as so much about these minority, polytheistic religions have been misrepresented. On Jeju Island, as is the case across the Eurasian continent, knowledge of theses religions was deliberately suppressed by governments and other forces. So, I decided to make a documentary. I wanted to make a record of the culture but also to give a voice to a people who have faced great hardship and whose religion has been censored from history.

이러다 저는 새로운 신전들과 전설들에 대해 아는것에 관심이 생겼고, 주변 이웃분들이 저와 연관도 시켰습니다. 항상 제가 방문한 마을에서는 믿음과 생존에 관련된 좋은 이야기들을 듣고, 그 이야기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저에게는 더 와 닿았습니다. 이런 조그만한 다신교들의 정확치 않은 의식때문에 제가 일을 시작해야되겠다는 의무를 느꼈습니다. 제주도는 유라시아처럼 이런 다신교에 대한 지식을 알리는 일을 정부가 지압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이것으로 통해 다양한 문화를 기록하고 종교 진압으로 통해 힘든 일을 겪으셨던 분들의 의견과 경험을 담고 싶었습니다.

It is my belief that shrines are as natural to humans as dams to beavers, as webs to spiders, as nests to birds. On Jeju Island, shrines are like joint art projects, created and maintained by village residents over hundreds of years.

제 생각으로는 신전은 사람들에게 자연적인것으로 비버에게는 댐, 거미에게는 거미줄, 또는 새에게는 둥지 같은 존재라고 믿습니다. 제주도에서 신전은 미술 과제와 비슷하고, 주변 거주분들이 몇백년동안 만들고 지켜온 것 입니다.

They are the ultimate outsider art consisting of stone walls, the individual stones of which were stacked and re-stacked by thousands of hands over scores of generations. The offerings left at shrines are unique to each village, and most splendidly their myths, the bonpuri, the myths of how the gods came to be guardians of each village, are also distinct. All effective healing shrines in the world have the component of a myth attached to them.

그 중 바위 벽은 수많은 돌들을 몇세대를 거쳐서 쌓고 쌓아서 만든 결과입니다. 그 벽 앞에 많은 제물들이 있던 점이 독특했고 ‘본푸리’ 라는 신이 어떻게 마을의 수호자가 되었는지에 대한 신화도 독특했습니다. 이 세상에 영향이 있던 신전들은, 항상 관련되있는 신화들이 존재합니다.

I want to introduce some of the shrines that I explored over the years. I returned to these places many times to shoot parts of my documentary, Spirits: The Story of Jeju Island’s Shamanic Shrines. But I didn’t just make a film about the shrines, I did years of research. I collected recordings of myths recited by shamans and interviewed people to make a real record of individual stories. In the last couple years, I made a point to photograph the people I met along the way.

저는 몇년간 찾은 신전들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제 다큐멘터리, ‘Spirits: The Story of Jeju Island’s Shamanic Shrines’를 위해 몇몇 장소를 다시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비디오만 만든게 아니라, 이 주제에 대해 몇년에 걸쳐서 조사와 연구를 했습니다. 무당들에게서 받은 조사결과와 관련된 사람들의 인터뷰들을 담은 현실적인 기록을 남기고 싶었습니다. 지난 몇년동안에는 제가 만난 분들을 사진으로 남기기 시작했습니다.

2 SHRINES

The first shrine I want to introduce you to is in a village called Weoljeong. Weoljeong is a now a popular village for tourism, hosting a number of coffee houses and restaurants. Tourists line its beachside road which appears in advertisements on the internet and on national TV. The visitors’ favorite pastime is taking group and couple photos on the beach. Wuljeong Village is no stranger to the selfie stick as of late. But if you head inland from the beach, away from all of this, you will find quite a different world, you will find a shrine in the forest, dedicated to the Grandfather and Grandmother gods of the village. The Great Shaman of Wuljeong is the 7th generation in her line to be responsible for the shrine. You can see her there in the foreground of the photo. Now, what is a shaman? That is a big topic for another day, but for the purpose of this talk, know that on Jeju Island, a shaman, called shimbang in the local language, is essentially a village priest. Shimbang share a lot of the same responsibilities that community religious leaders all over the world do, for instance, a country pastor in the Protestant sects in America, or Catholic priests for that matter. There are, of course, many differences in the details. The stories of how village shamans came to have their positions are often interesting and involve an amount of suffering. This fits in with the pattern of ‘wounded healer’ found in shamanism and other faiths all over the world.

처음으로 소개하고 싶은 신전은 ‘월정’ 이라는 곳에 있습니다. 지금에 월정은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하는 마을인만큼 커피숍들과 음식점이 많습니다. 관광객들은 텔레비전과 인터넷 광고에 나오는 해변가를 둘러싸곤 합니다. 관광객들은 이곳에서 단체와 커플 사진들을 찍는것을 제일 좋아합니다. 이제 셀카봉은 월정에게는 익숙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것들을 떠나서 깊숙히 들어가면, 다른 세상을 볼수가 있고, 이곳 숲에는 이 마을에 할머니 할아버지 신들을 위한 신전들이 존재합니다. 그녀의 7세대는 월정 신정을 맞고 있습니다. 여기 사진에서 그녀를 볼수 있습니다. 여기서 무당이 무었인가요? 이 이야기에서는 또 다른 큰 주제 이지만, 여기 제주도에서는 제주 방언으로 ‘심방’이라 불리는 마을의 목사입니다. 심방들은 다른 종교의 지도자와 같은 책임을 지는데, 예로 미국에 있는 신교도 목사들이나 천주교 신부님들이있다. 물론, 다른 세부 사항들도 있습니다. 이 마을 무당들이 그들의 자리까지 이르기까지 가끔 신기한 고통이 포함되었다. 이것은 샤머니즘을 포함한 다른종교들은 ‘아픈곳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Village residents are usually concerned about things like safety while working and their children’s health and education. They are eager to hear the gods’ advice on these matters which is communicated through the shaman, working as a medium for the gods.

마을 주민들은 보통 안전성, 아이들의 건강, 또는 교육에 대해 많이 신경을 쓰고있습니다. 그래서, 무당은 신과 사람들의 연결고리로써, 신에게서 조언을 받고 소통할 수 있습니다.

Myth is extremely important to shrine culture. The myth of Miss Hyun’s shrine in Shincheon Village is one of my favorites. The heroine of the bonpuri, the shrine myth, is Miss Hyun, a real person who lived some 300 years ago.  Every morning, this young girl would circulate the tiny country roads of the village, shouting out the wind conditions so the women divers would know what kind of work they could perform safely that day.

신화 역시 신사 문화에서 굉장히 중요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신화 중에는 신천 마을 현 양의 신사에 관한 신화가 있습니다. 본푸리의 여걸, 현 양은 300년 전에 실존하던 인물입니다. 매일 아침, 이 소녀는 여성 잠수부들이 어떤 일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알려주기 위해 바람 상태가 어떤지 외치면서 아주 좁은 마을의 시골 길을 돌아다녔습니다.

We can’t talk about Jeju Island without talking about the women divers, the now world famous haenyo or sea women. Jeju’s sea women are usually adherents of Jeju shamanism.

This diving work is treacherous work, entailing free-diving to great depths and sometimes holding ones breath for up to two minutes.

제주의 여성 잠수부들, 해녀들의 이야기를 빼먹게 된다면, 그건 진정 제주에 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없습니다. 제주의 해녀들은 보통 제주 샤머니즘의 지지자입니다. 이들은 굉장히 깊은 곳에 잠수하고, 가끔은 2분간 숨을 쉬지 않기에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n the end of the myth, Miss Hyun’s brother dies at sea. A gift he bought for her on the mainland washes ashore. The gift was a set of ritual clothes for his sister, as she herself had been a shaman. The women divers of Sincheon village still hang those sort of clothes, a gift to Miss Hyun, in the shrine tree today.

신화의 마지막에는 그녀의 형제가 바다에서 죽고 맙니다. 그가 육지에서 현 양을 위해 산 선물은 해안가로 사라지게 되는데, 그 선물은 무당이었던 동생을 위한 의식적인 옷들이었습니다.

Now, the shamans have quite a daunting responsibility to assist residents of their villages in dealing with the stresses and hardships of daily life and, more importantly in this era, the deep trauma that has plagued Jeju Island. Starting in 1948 there were a series of massacres carried out at the behest of the national government where some 30,000 people, accused of being communists, were killed in cold blood. I won’t show you photographs of the mass graves or of the people who cry every year at the memorial ceremonies. But they are out there and you can easily find them online. Amongst Jeju Island’s elderly community are many survivors of this horrific period which is referred to commonly as the April 3rd incident, April 3rd Uprising or simply the April 3rd massacre. I want to show you a short video clip about how a woman’s relationship with the grandmother goddess of her village’s shrine helped her to survive after her entire extended family was killed. This woman was trapped in her home, with daily visitations from hostile soldiers, coping with a sick son and expecting a new child. When all else was lost, in the most desperate of situations, she turned to the village Grandmother Goddess for help.

이제, 무당들은 매일 매일 겪는 압박감과 어려움을 갖고 깊은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는 마을 사람들을 도울 의무가 있습니다. 1948년에 시작된 수많은 학살들은 중앙 정부에서 공산주의자일꺼라는 이유로 고발해, 약 30,000명이 학살당했습니다. 사람들이 매년 위령제에서 우는 사진이나 공동묘지의 사진들을 제가 보여주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관심이 있으시다면 쉽게 인터넷에서 찾으실수 있습니다. 제주도의 어르신들중 많은 분들이 제주 4.3 사건에서 살아남으신 분들 입니다. 여기서 제가 어떤 여성분이 온가족이 학살을 당한후 할머니여신이 어떻게 도왔는지 비디오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여성분은 집에 갖혀 살고, 매일 군인들에게 감시받으며, 병든 아들을 돌보며 새로운 아기가 태어나길 기다렸습니다. 모든 것을 잃었을때 여성분은 마을로 가서 도움을 받으러 할머니 여신을 찾았습니다.

3 VIDEO (Wasan Video 3:30 minutes)

Anyone who is from Jeju Island, will know that these stories of miracles, are not at all uncommon. We don’t have to speculate about the deeper reasons about why so many of these stories exist here right now, but I hope to delve into that deeper in my film.

제주도에서 오신 분이라면 이 기적적인 이야기들은 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희들은 여기서 왜 이런 이야기들이 존재하는지 더 깊게 파고들 필요는 없지만 제 영상에서 보여드릴 수 있으면 합니다.

4 SULSAEMIT/ DESTRUCTION OF SHRINES/ WASAN 3:00 min

I’d like to talk about another village now that suffered during the massacres of 1948. In this case, the entire village was burnt to the ground and the few survivors were forced to flee. Those who did survive, still live in nearby villages a few kilometers further down the mountain.

지금부터 제가 1948년 대학살 당시 피해를 입은 또 다른 마을의 이야기를 들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마을은 무자비 하게도 온통 불에 타버리고 무자비 하게도 이 마을은 온통 불바다가 되어버려, 어렵게 살아남은 사람들 마저도 결국 마을을 떠나야만했고, 그리고 그렇게 살아남은 사람들은 여전히 몇 킬로미터 떨어지지 않은 근처 산간 마을에 거주하고있습니다.

 

The shrine located in the old destroyed village is called Sulsaemit Shrine and came to fame two years ago when its holy trees were deliberately cut. The message the desecration was sending was clear.

오래전 무너져버린 마을에 있던 Sulsaemit 신사는 2년전 그곳의 신성했던 나무가 잘려버렸을때 사람들의 입에 오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나무를 자르면서 그들이 신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뜻은 강했습니다.

The perpetrators were saying to the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who still make the trip up the mountain to pray that they were no longer welcome to practice their religion on the very land that used to be theirs. This wasn’t the first time that Sulmaemit shrine had been desecrated I later learned. I had to start talking about the destroyed shrine at Sulsaemit. I felt that responsibility as people from areas with traditional shrine worship had really opened up to me and shared their stories. These are stories that people weren’t talking about. The destruction of shrines were very much underreported.

그들이 이곳에서 하는 종교적 행상들은 더 이상 반겨지지 않다는것을, 이제 그 땅은 더 이상 그들의 것이 아니라는걸. 하지만, 나중에 저는 이 일이 Sulsaemit 신사를 막아버렸던 처음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아게되었습니다. 그곳에 거주하고 Sulsaemit 신사를 방문하던 분들이 저에게 자신들의 이야기를 열정적으로 들려주시는걸 듣고있으니, 이 일을 사람들에게 알려야겠다는 책임감이 생겨났습니다. 사람들이 전혀 알고있지못한 이일을, 널리 퍼뜨려 모두가 알게되며 신사의 가치를 느낄 수 있게 하는게 제가 할수있는 유일한 일일 것 이라고 느꼈습니다.

Some local friends and I started a group whose purpose was to rebuild the shrine. We started by making a safe path to the altar. Our bigger message was, that in the face of old prejudices and unbridled development, that Jeju Island’s sanctuaries should be left intact as they are holy places for traditional islanders. The townspeople did indeed return to worship at the shrine.

그렇게 저의 책임을 다 하기 위하여서, 저는 저와 제 지인들을 포함하여 신사 재개발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제일 먼저 제단으로 향하는 안전한 길을 만들면서, 제주의 유산들은 보호되야할 가치와 권리가 있으며, 이 곳의 주민들의 소유이다라는 말을 전하고싶었습니다.

Later, they thanked us for our efforts, but said that until the shrine was officially protected by law, that they feared the problem would continue.

그렇게 저희의 노력은 그들이 다시 신사에 돌아와 종교적인 행사를 할 수 있게 그들을 도왔지만, 여전히 법이 이 곳들을 지켜주기 전까지는 걱정을 그만할 수 없다는 그들의 말이였습니다.

These two women, now in their late 70s, are survivors of the massacre that occurred near Sulsaemit. I consider myself lucky to have spoken with people who survived such a tragedy. Sulsaemit was not the only shrine to be destroyed during my five year project. In fact, I have counted around 8 shrines that have been destroyed in that time.

현재 70대 후반의 이 두 여성은, Sulsaemit 근방에서 일어난 학살의 생존자들 입니다. 이러한 비극에서 어렵게 생존한분들과 얘기를 나눌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자체부터 감사하게 여기고있습니다.

Sulsaemit 마을이 저의 5년간 프로젝트 안에서 파괴되어버린 유일한 신사가 아닙니다. 그 외에도 8개의 신사가 무자비하게 파괴되었습니다.

Some examples of these shrines would be the shrine in Yaerae Village where the woman divers celebrated the famous Youngdeung Gods. The several hundred year old shrine tree was cut and the shrine wiped out to provide space for a single unit of this huge tourism complex.  The village has been embroiled in legal conflict over this development since its inception.

예래동에 위치해있는 신사는는 해녀들이 제주도의 바람신인 영등할망에게 축제를 열며 사용되었지만, 관광지의 작은 일부를 위해 예래동 신사의 100년 나무는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잘라져 버렸고, 신사마저도 흔적없이 사라졌습니다. 이 일에 화가난 예래동의 주민들은, 법적 조취를 취해보고 관광단지 관리자들을 고소했지만, 여전히 배상없이 법적 다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In the town of Seongsan, two shrines were destroyed despite nearby Sunrise Peak being designated as a Unesco protected site. Many local businesses make use of the diver’s image for promoting their services, but yet the community failed to protect their most sacred sanctuaries.

또 다른 마을 성산에서는, 근방에 위치하여있던 성산일출봉이 유네스코 보호 구역으로 관리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두개의 신사가 개인 사업, 투어리즘의 목적으로 파괴되었습니다. 마을 사람들마저도 다른 관광단지 들의 개발보다 훨씬 가치있는 문화유산을 지키지못했던 것 입니다.

This woman was brought to tears just talking about the recent incident. She had prayed at the shrine all her life.

일생을 신사에서 열심히 기도한 한 여성은 최근에 호텔설립 목적으로 사라진 또 다른 신사를 떠올리며 더욱 속상해하며 울었습니다.

The shrine that the woman was crying about had been located here, in a hotel parking. The lot had perhaps fifty to one hundred spaces. The shrine, that only took up two of these spaces, could have easily been spared.

그녀가 속상한 마음을 드러내면서 말한 그 신사는, 최근 호텔 주차장이 모자라다 는 이유로 파괴 됐던 것 이였습니다. 50에서 100정도의 크기를 차지하는 주차장에서, 2만큼도 채 되지않는 신사를 위한 공간이 정말 없었던 것일까하는 그녀의 마음이 전해져왔습니다.

5 CONCLUSION

Jeju Island’s shrines are deeply tied to the island’s past, to the trauma and struggles that the people of the island have faced. I believe these shrines should remain now as they always have been, natural sanctuaries, places for prayer and ritual centers. We must protect what is sacred and not convert that sacredness to the profane. These shrines represent a common polytheistic shamanic heritage that we share across national boundaries. When our traditional heritage lands and sanctuaries are desanctified I believe there is something in the community and in human spirit that is lost. These spaces give us identity through myths, community and personal solace. Above all, in the case of Jeju Island, they give healing. Well, this shouldn’t end on a negative note. And I’m not just saying this only because these talks are supposed to end upbeat. Right now is the right time for Jeju Island to protect its shrines. In fact, this issue is something that is being discussed around the world. For example,

제주도의 신사들은 이 섬 사람들이 과거에 마주한 정신적 외상과 투쟁들과 얽매여 있습니다. 저는 항상 그래왔던 것처럼 이 신사들이 자연 조수 보호구역, 기도하는 공간, 그리고 의례의 중심으로 남아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신성함을 반드시 보호해야하며 그 신성함을 불경함으로 바꿔서는 안됩니다. 이 신사들은 우리가 국경 내에서 나누는 공동의 다산교적 샤먼 유산을 상징합니다. 저는 우리의 전통적 유산 지역과 보호구역들이 신성화되지 않았을때 공동체와 인간의 정신 안에서 잃는 것이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이 공간들은 신화, 공동체, 그리고 개인의 위안을 통해 우리에게 정체성을 부여합니다. 무엇보다도, 제주도에 관하여 말했을 때 이들은 우리를 치유합니다. 자, 이는 부정적인 내용으로 끝나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저는 이 이야기들이 긍정적인 분위기로 끝나야하기에 이 말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지금 이 순간이 제주가 신사들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시간이고, 또, 이 쟁점을 전 세계에서 논의하고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자면,

the country of Estonia has been making serious efforts over the last few years to protect its some 500 shamanic shrines. With the increase of tourism on the island, there will also be more incentive to protect cultural items that give the island its true character. In our complex world, we need sacred spaces. I will only say this. Keep these shrines as they are. Don’t make parks out of them or tourists attractions with parking lots. Maintain them as holy places. The gods know we need more of that in the world today. Lastly, I want to leave you with some images of healing shrines from around the world.

에스토니아에서는 지난 몇 년간 500 여개의 신사들을 보호하기 위해 진정한 노력을 만들어 왔습니다. 이 섬에서 관광산업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제주의 진정한 아름다움과 과거의 세월을 고스란히 나타내는 유산지들을 보호해야하는 더 큰 이유가 생겨났습니다. 점점 복잡해지고 얽혀가는 세상속에서 저희가 가장 먼저 해야할일은 신성한 유산지들을 지켜나가는 것입니다. 더도 덜도 아닌 단지, 이 신사들을 지금 모습 그대로 보존해야하는게 저희가 해야할 진정한 일이라고 전 굳건히 믿습니다. 관광지, 주차장, 공용화장실 들 보단 옛 세월을 담아온 신사들이야 말로 저희가 진정히 지키고 관심을 가져야 할 신성한 곳이라는걸 신조차도 알 것 입니다. 신사를 보존하는 것 그것이 저희가 지금 일어나서 해야할 일입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들께 전 세계의 신사 사진들을 남기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Thank you very much.

감사합니다.

I don’t want to give you the impression that I, as a foreign person living on Jeju Island, am the only person worried about the future of the island’s shrines. There are plenty of local researchers, artists, activists and interested citizens that are very much trying to make a difference. This is likely the case in a majority of regions where such cultural treasures are being threatened, from Estonia to India, to South America, to here in South Korea.

마치 제가 제주 신당에 대해 걱정하는 유일한 사람인 것 같은 인상을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저는 지금 제주에 살고 있지만, 지역 연구가, 예술가, 활동가, 시민들 등 다양한 사람들이 변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석과 같은 문화유산들이 사라질 위기에 처한 대부분의 지역들-에스토니아, 인도, 남아메리카, 한국 등-이 비슷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The original talk:

 

One Comment Add yours

  1. Reblogged this on Daniel Paul Marshall and commented:
    so proud to call this man my friend. i’ll keep this short as there is so much inside waiting for you to learn & i should not take up your time with my praises that could fill an ocean.

    Like

Leave a comment